투자 전략/모멘텀 (6) 썸네일형 리스트형 29. 듀얼모멘텀 백테스트 #23 듀얼모멘텀이란 상대모멘텀(최근 많이 오른 것 / 수익 good, MDD bad) 절대모멘텀(상승장 매수, 하락장 매도 / 수익 증가 X, MDD good) => 상승장에 잘나가는 주식 사고, 하락장에는 현금보유! (12개월 기준) 데이터 다운로드(MSCI) https://www.msci.com/ MSCI – Powering better investment decisions MSCI strives to bring greater transparency to financial markets and enable the investment community to make better decisions for a better world. www.msci.com 밑의 내용처럼 지수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다. .. 28. 듀얼모멘텀 #22 Antonacci - Risk Premia Harvesting Through Dual Momentum (2013)\ 요약 : 절대모멘텀 + 상대모멘텀 결합 - 상대모멘텀 : 최근에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주식을 매수 => 수익 good, MDD 개선 X - 절대모멘텀 : 상승장 매수, 하락장 매도 => 수익 도움X, MDD 개선 듀얼모멘텀 전략 - 평상시에는 여러 자산 중 잘나가는 자산(들)만 매수 - 상승장에만 매수하고, 하락장에는 현금보유 - 모멘텀 기준 : 12개월 모멘텀(1년 전 가격과 비교) - 미국+글로벌 주식 / 우량, 비우량채권 모두 / REIT도 듀얼모멘텀 먹힌다 - 주식 하락장에는 금 + 미국채 듀얼모멘텀하면 돈 벌 수 있음 27. GTAA (자산배분 + 절대모멘텀) #21 Faber - A Quantitative Approach to Tactical Asset Allocation(2013) 만약 주식의 75%가 깨지면 어떻게 해야할까? 본전만회를 위해 300%의 수익이 나야하고 이는 복리로 자그마치 10% 15년의 수치이다. 실제로 G7 모든 국가들은 이러한 적이 있었고, 이러한 인덱스 펀드의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지 잘 고민해야한다. 여기서 절대 모멘텀(10개월)을 사용한다면? Timing model (절대모멘텀)의 약점 : 횡보장이 계속되면(추세가 없으면) 수익이 발생하지 않음, 오히려 손해! 약점 보강 - 여러 자산 + 절대모멘텀 포트폴리오 운영 - 어떠한 자산군에는 추세가 있겠지 - 특히 상관성이 낮은 자산군일수록 잘 먹힘 - 5개의 자산군 : 미국 주식,.. 23. 절대 모멘텀 (with 백테스트) #17 AQR - A Century of Evidence on Trending-Following Investing (2018) 요약 : 상승장 매수, 하락장 공매도! - 이전에 JT의 상대모멘텀은 3-12개월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주식이 매수 후에도 3-12개월 후에도 계속오른다. - 선정 방식은 상위 10%에 투자 절대모멘텀 (추세추종) 이란? 상승장에는 매수, 하락장에는 매도/공매도! 하는 전략 - 상승장과 하락장은 어떻게 구분하는 거지? 최근 특정 주식/지수의 X개월 수익이 0 이상이면 매수, 0 이면 매도 및 현금화 or 공매도 이 논문에서의 X는 1, 3, 12개월 137년에 걸친 67개 시장 백테스트, 절대모멘텀은 먹힌다! - 전통 자산과 상관성이 적다 - 주식시장 대박살 날 때 절대모멘텀은 .. 21. 모멘텀의 세계(2) #14 JT (Jeegadesh/Titman)의 20년 만에 컴백! 논문 제목이 Momentum => 20년 동안의 모멘텀 연구결과 1993-2018까지 2009년만 빼고 모두 통했다! 41개국을 분석해서 37개의 국가가 모멘텀이 성공하고 그 중 25개의 국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냈지만 모멘텀이 실패한 4개의 국가에 한국이 들어간다. 1월에 모멘텀이 먹히지 않는다는 것도 1993년 이후부터는 다시 한 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모멘텀이 통하는 이유 모멘텀은 처음에 정보의 과소평가, 나중에는 과잉반응으로 발생하게 된다. 산업모멘텀 최근 오른 산업군에 투자하는 모멘텀의 효과도 6개월 정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개별주는 최근 1달 많이 오른 주식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지만 산업군은 그렇지 않다. .. 18. 모멘텀의 세계(1) #8 Jeegadesh/Titman - Returns to Buying Winners and Selling Losers 계량투자에서 가장 유명한 2가지 논문은 Fama/French : 소형주, 저PBR 논문 & Jeegadesh/Titman : 중기 모멘텀 요약 최근 많이 오른 주식을 매수하고, 최근 많이 오른 주식을 공매도하는 투자전략을 활용하면 상당한 초과수익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초과수익은 3-12개월 정도 유지가 된다. 결과1 : 최근 3-12개월간 가장 많이 오른걸 사자 결과2 : 모멘텀 전략은 중소형주, 고베타 주식에서 잘먹힌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중소형주 모멘텀 전략이 안통한다! 대형주만..! 결과3 : 1월에는 하지 말자 (J=6, K=6) 결과4 : 1965-89년 데이터를 5년단위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