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동적자산배분

39. PAA (듀얼 모멘텀 업그레이드)

#136

4대 콤보전략 중 BAA를 아려면 PAA를 먼저 공부해야 한다. 앞으로 투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PAA에 대해 알아보자!

 

PAA

- 듀얼모멘텀보다 수익이 떨어지지 않고 MDD 낮추기!

- 낌새가 조금만 이상해도 재빠르게 도망가는 것이 핵심

- 상대모멘텀은 똑같이 사용

- 절대모멘텀 => 폭 모멘텀으로 발전

폭 모멘텀

절대모멘텀 : 특정 자산의 최근 수익이 +면 투자, -면 현금

폭 모멘텀 : 특정 자산의 최근  수익이 +라도 다른 자산들이 -면 현금보유

 

- 낮은 보호막 : 현금보유비중 : 나쁜 자산 / 전체 자산

- 중간 보호막 : 현금보유비중 :  나쁜 자산 / (0.75 * 전체 자산)

- 높은 보호막 : 현금보유비중 :  나쁜 자산 / (0.50 * 전체 자산)

 

설명

높은 보호막(a=2)에서 12개의 자산 주 6개의 최근 수익이 0 이하면 나머지 자산의 수익과 상관 없이 100% 현금보유!

- 특정 자산이 수익이 날 지라도 금융시장 자체가 불안하면 영향이 미친다.

- 어마어마하게 조심성이 높은 전략

- 12개의 자산

 

 

- 모멘텀을 3 6 9 12의 4개로

- 보호막 종류 a = 0 1 2 의 3개

- 12개의 자산 중 TOP 몇 개에 자산을 투자? 1 - 6의 6개

- 도합 72번의 백테스트 중

모멘텀은 12개월 보호막은 2(높은)가 필수!

 

요약

- 보수적인 전략의 최고봉!

- 하지만 수익이 의외로 괜찮고 MDD가 엄청나게 떨어진다

- 단점으로는 리스크 관리를 위해 재미를 철저히 버린다. 중기채만 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 지루함과의 싸움, 다른 자산 올라가는데 손 떼고 있을 수 있을까?

- 리밸런싱은 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