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배분의 원칙은 상관성 낮은 것들끼리 분산하는 것! => 분산투자란 금액을 분산하는 것이 아닌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
경제 4계절 이론
- 경제에는 4계절이 있고, 계절마다 잘 나가는 자산군이 있다 / 경제 타이밍 예측은 절대 불가능하다!
- 기대치인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경제성장이 더 높으면 호경기, 아니면 불경기 / 물가도 더 오르면 인플레, 기대치보다 적게 오르면 디플레이션
- 예측은 불가능하므로 => 대응을 잘해야겠지!
cf) 물가가 오르면 현금이랑 비슷한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채권을 팔게 되고 이에 대한 대출 수요의 감소, 따라서 장려하기 위해 금리도 올라간다. 반대로 물가가 떨어지면 채권의 현재가치가 높아져 가격이 상승한다. 돈 빌려준다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므로 금리가 떨어진다.
올웨더(4계절) 포트폴리오
- 주식 : 30%
호경기에 좋아서 주식은 꼭 필요!
- 국채 : 55% / 중기국채 15% , 장기국채 40%
경제하락, 물가하락때 잘나감 / 큰 비중으로 주식의 리스크를 분산하는 효과 / 장기국채가 수익이 더 좋아서 많이 보유
- 실물자산(금 & 원자재) : 각각 7.5%
호경기와 인플레에 대비
한국형 올웨더 포트폴리오
주식
- 주식은 한국과 미국 주식을 동시에
- 장기적으로 은근히 상관성이 높지 않다!
- 장기적 성장세를 고려하면 KOSPI 지수보다 / 저평가 우량주에 투자하는 '타이거우량가치'
- 타이거우량가치, SPY
채권
- 미국 채권이 더 좋다 : 한국 주식과 마이너스 상관성을 가져서..!
- 중기채 : IEF / 장기채 : TLT
- 달러 비중이 너무 높으면 한국 국채 넣어도 OK
실물자산
- 부동산도 넣으면 좋아서 REITS, (VNQ)
- 금 : GLD
관련 ETF 구입
- 거래량 낮은 한국 ETF보다는 미국 직구가 어떨까?
- KB 투자증권에서 거래 수수료가 낮아서 여기서 찾아보거나 수수료 작은 다른 곳 찾아보자!
- 일단 동일비중으로 적용해서 나중에 리스크 분산을 보고, 주식이나 원자재 리스크를 낮추고 채권을 좀 올리는 식으로
- 주식, 채권이 > 실물자산보다 리스크가 높아야 한다..!
- 금, REITS KRW 가 원화로 적용시켜서 상관성 낮춘다..!
- Tiger 미국 MSCI 리츠 (H)
- KODEX 골드선물 (H)
- 미국이 궁금하면 portfolio visualizer 이용해보자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Portfolio Visualizer
Monte Carlo Simulation Run Monte Carlo simulations for the specified portfolio based on historical or forecasted returns to test long term expected portfolio growth and survival, and the capability to meet financial goals and liabilities. Monte Carlo Simul
www.portfoliovisualizer.com
요약
- 한국은 원화, 달러 결정이 필요하다
- 주가지수는 스마트 ETF (TIGER 우량가치, ㅍ) 가 유리할 수 있음
- 채권은 달러가 좋다 (한국 주식 상관성 -)
- 포트폴리오 만든 후 상관성 점검!
- 상관성 만든 후 리스크 조절 점검!
'투자 전략 > 정적자산배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한국형 올웨더 포트폴리오 (0) | 2022.08.09 |
---|---|
7. 영구 포트폴리오 (자산배분) (0) | 2022.08.09 |